Translated using Weblate (Korean)

Currently translated at 100.0% (572 of 572 strings)

Translation: pulseaudio/pulseaudio
Translate-URL: https://translate.fedoraproject.org/projects/pulseaudio/pulseaudio/ko/
Part-of: <https://gitlab.freedesktop.org/pulseaudio/pulseaudio/-/merge_requests/713>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김인수 2022-05-19 03:22:47 +00:00 committed by PulseAudio Marge Bot
parent 0cb96dc536
commit fb3670ffc4

218
po/ko.po
View file

@ -7,8 +7,8 @@ msgstr ""
"Report-Msgid-Bugs-To: https://gitlab.freedesktop.org/pulseaudio/pulseaudio/"
"issues/new\n"
"POT-Creation-Date: 2022-05-16 23:56+0300\n"
"PO-Revision-Date: 2022-01-15 22:16+0000\n"
"Last-Translator: simmon <simmon@nplob.com>\n"
"PO-Revision-Date: 2022-05-20 18:18+0000\n"
"Last-Translator: 김인수 <simmon@nplob.com>\n"
"Language-Team: Korean <https://translate.fedoraproject.org/projects/"
"pulseaudio/pulseaudio/ko/>\n"
"Language: ko\n"
@ -16,7 +16,7 @@ msgstr ""
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"X-Generator: Weblate 4.10.1\n"
"X-Generator: Weblate 4.12.2\n"
#: src/daemon/cmdline.c:113
#, c-format
@ -92,58 +92,64 @@ msgstr ""
"%s [options]\n"
"\n"
"명령:\n"
" -h, --help 도움말을 표시\n"
" --version 버전를 표시\n"
" --dump-conf 기본 설정을 덤프\n"
" --dump-modules 사용 가능한 모듈 목록을 덤프\n"
" --dump-resample-methods 사용 가능한 리샘플링 방법을 덤프\n"
" --cleanup-shm 이전 공유 메모리 세그먼트를 삭제\n"
" --start 데몬이 실행하지 않는 경우 데몬을 시작\n"
" -k --kill 실행중인 데몬을 종료\n"
" --check 실행중인 데몬을 확인 (종료 코드를 반환할 경우에만)\n"
" -h, --help 도움말을 표시\n"
" --version 버전을 표시\n"
" --dump-conf 기본 구성을 덤프\n"
" --dump-modules 사용 가능한 모듈의 목록을 덤프\n"
" --dump-resample-methods 사용 가능한 재표본 방식으로 덤프\n"
" --cleanup-shm 오래된 공유 메모리 세그멘트 정리\n"
" --start 만약 실행되지 않았으면 데몬을 시작\n"
" -k --kill 실행 중인 데몬을 제거\n"
" --check 동작 중인 데몬을 위한 점검 (종료 "
"코드만 반환)\n"
"\n"
"옵션:\n"
" --system[=BOOL] 시스템 전역 인스턴스로 실행\n"
" -D, --daemonize[=BOOL] 시작 후 데몬화\n"
" --fail[=BOOL] 시작 실패 시 종료\n"
" --high-priority[=BOOL] 높고 좋은 수준 설정 시도\n"
" (root로만 사용 가능, SUID 또는\n"
" 상승된 RLIMIT_NICE에서)\n"
" --realtime[=BOOL] 실시간 예약 활성화 시도\n"
" (root로망 사용 가능, SUID 또는\n"
" 상승된 RLIMIT_RTPRIO에서)\n"
" --disallow-module-loading[=BOOL] 시작 후 사용자 요청 모듈 로드/언로드를\n"
" 허용하지 않음\n"
" --disallow-exit[=BOOL] 사용자 요청 종료를 허용하지 않음\n"
" --exit-idle-time=SECS 유휴 시간 및 지정된 시간 후\n"
" 데몬을 종료\n"
" --scache-idle-time=SECS 유휴 시간 및 지정된 시간 후\n"
" 자동 로드된 샘플을 언로드\n"
" --log-level[=LEVEL] 상세 설명 수준을 올리거나 설정\n"
" -v 상세 설명 수준을 올림\n"
" --log-target={auto,syslog,stderr,file:PATH,newfile:PATH}\n"
" 로그 대상을 지정\n"
" --log-meta[=BOOL] 로그 메세지에 코드 위치를 포함\n"
" --log-time[=BOOL] 로그 메세지에 시간표기를 포함\n"
" --log-backtrace=FRAMES 로그 메세지에 역추적을 포함\n"
" -p, --dl-search-path=PATH 동적 공유 객체 (plugins)에\n"
" 검색 경로를 설정\n"
" --resample-method=METHOD 지정한 리샘플링 방법을 사용\n"
" (사용 가능한 값은 --dump-resample-methods\n"
" 에서 참조)\n"
" --use-pid-file[=BOOL] PID 파일 생성\n"
" --no-cpu-limit[=BOOL] 지원하는 플랫폼에 CPU 로드 제한기를\n"
" 설치하지 않음.\n"
" --disable-shm[=BOOL] 공유 메모리 지원을 비활성화함.\n"
"OPTIONS:\n"
" --system[=BOOL] 시스템-전반의 인스턴스로 실행\n"
" -D, --daemonize[=BOOL] 시작 후에 데몬화\n"
" --fail[=BOOL] 시작이 실패 할 때에 종료\n"
" --high-priority[=BOOL] 높은 수준으로 설정을 시도\n"
" (root로만 사용 가능, SUID 또는\n"
" 높은 RLIMIT_NICE일 때에)\n"
" --realtime[=BOOL] Try to enable realtime scheduling\n"
" (root로만 사용 가능, SUID 또는\n"
" 높은 RLIMIT_RTPRIO일 때에)\n"
" --disallow-module-loading[=BOOL] 시작 후 사용자가 요청 모듈을\n"
" 적재/적재하지 않는 부분을 허용하지 "
"않음\n"
" --disallow-exit[=BOOL] 사용자가 요청한 종료를 허용하지 "
"않음\n"
" --exit-idle-time=SECS 유휴 상태이고 시간이 경과하면\n"
" 데몬을 종료함\n"
" --scache-idle-time=SECS 유휴 상태이고 시간이 경과하면\n"
" 자동 적재된 표뵨을 내려 놓음\n"
" --log-level[=LEVEL] 자세한 표시 수준을 높이거나 설정\n"
" -v --verbose 자세한 표시 수준을 높임\n"
" --log-target={auto,syslog,stderr,file:PATH,newfile:PATH}\n"
" 기록 대상을 지정\n"
" --log-meta[=BOOL] 로그 메시지에서 코드 위치를 포함\n"
" --log-time[=BOOL] 로그 메시지에서 시간표기를 포함\n"
" --log-backtrace=FRAMES 로그 메시지에서 역추적을 포함\n"
" -p, --dl-search-path=PATH 동적 공유 객체(플러그인)을 위한\n"
" 검색 경로를 설정\n"
" --resample-method=METHOD 지정한 재표본 방식을 사용\n"
" (사용 가능한 값을 위해 --dump-"
"resample-methods을\n"
" 참조)\n"
" --use-pid-file[=BOOL] PID 파일을 생성\n"
" --no-cpu-limit[=BOOL] 이를 지원하는 CPU 적재 제한기를\n"
" 설치하지 않음.\n"
" --disable-shm[=BOOL] 공유 메모리 지원을 비활성화.\n"
" --enable-memfd[=BOOL] memfd 공유 메모리 지원을 활성화.\n"
"\n"
"시작 스크립트:\n"
" -L, --load=\"MODULE ARGUMENTS\" 지정된 인수와 함께 지정된 플러그인\n"
" 모듈을 적재\n"
" -F, --file=FILENAME 지정한 스크립트를 실행\n"
" -C 시작 후 실행 중인 TTY에서 명령행을\n"
" 열음\n"
"스크립트 시작:\n"
" -L, --load=\"MODULE ARGUMENTS\" 지정된 인수와 함께 지정된 "
"플러그인\n"
" 모듈을 적재\n"
" -F, --file=FILENAME 지정된 스크립트를 실행\n"
" -C 시작 후에 동작 중인 TTY에서\n"
" 명령 줄을 엽니다\n"
"\n"
" -n 기본 스크립트 파일을 적재하지 않음\n"
" -n 기본 스크립트 파일을 적재하지 않음\n"
#: src/daemon/cmdline.c:246
msgid "--daemonize expects boolean argument"
@ -224,7 +230,7 @@ msgstr "--disable-shm 에는 부울 인수가 필요합니다"
#: src/daemon/cmdline.c:397
msgid "--enable-memfd expects boolean argument"
msgstr "--enable-memfd 에는 부울 인수가 필요합니다"
msgstr "--enable-memfd는 부울 인수가 예상됩니다"
#: src/daemon/daemon-conf.c:270
#, c-format
@ -1823,7 +1829,7 @@ msgid "pa_stream_update_timing_info() failed: %s"
msgstr "pa_stream_update_timing_info() 실패: %s"
#: src/utils/pacat.c:676
#, fuzzy, c-format
#, c-format
msgid ""
"%s [options]\n"
"%s\n"
@ -1893,57 +1899,61 @@ msgstr ""
"%s [options]\n"
"%s\n"
"\n"
"명령:\n"
" -h, --help 도움말을 표시\n"
" --version 버전을 표시\n"
" --dump-conf 기본 설정을 덤프\n"
" --dump-modules 사용 가능한 모듈 목록을 덤프\n"
" --dump-resample-methods 사용 가능한 리샘플링 방법을 덤프\n"
" --cleanup-shm 이전 공유 메모리 세그먼트를 삭제\n"
" --start 데몬이 실행하지 않는 경우 데몬을 시작\n"
" -k --kill 실행중인 데몬을 종료\n"
" --check 실행중인 데몬을 확인 (종료 코드를 반환할 경우에만)\n"
" -h, --help 이 도움말을 표시합니다\n"
" --version 버전을 표시합니다\n"
"\n"
"옵션:\n"
" --system[=BOOL] 시스템 전역 인스턴스로 실행\n"
" -D, --daemonize[=BOOL] 시작 후 데몬화\n"
" --fail[=BOOL] 시작 실패 시 종료\n"
" --high-priority[=BOOL] 높고 좋은 수준 설정 시도\n"
" (root로만 사용 가능, SUID 또는\n"
" 상승된 RLIMIT_NICE에서)\n"
" --realtime[=BOOL] 실시간 예약 활성화 시도\n"
" (root로망 사용 가능, SUID 또는\n"
" 상승된 RLIMIT_RTPRIO에서)\n"
" --disallow-module-loading[=BOOL] 시작 후 사용자 요청 모듈 로드/언로드를\n"
" 허용하지 않음\n"
" --disallow-exit[=BOOL] 사용자 요청 종료를 허용하지 않음\n"
" --exit-idle-time=SECS 유휴 시간 및 지정된 시간 후\n"
" 데몬을 종료\n"
" --scache-idle-time=SECS 유휴 시간 및 지정된 시간 후\n"
" 자동 로드된 샘플을 언로드\n"
" --log-level[=LEVEL] 상세 설명 수준을 올리거나 설정\n"
" -v 상세 설명 수준을 올림\n"
" --log-target={auto,syslog,stderr,file:PATH,newfile:PATH}\n"
" 로그 대상을 지정\n"
" --log-meta[=BOOL] 로그 메세지에 코드 위치를 포함\n"
" --log-time[=BOOL] 로그 메세지에 타임스탬프를 포함\n"
" --log-backtrace=FRAMES 로그 메세지에 역추적을 포함\n"
" -p, --dl-search-path=PATH 동적 공유 객체 (plugins)에\n"
" 검색 경로를 설정\n"
" --resample-method=METHOD 지정한 리샘플링 방법을 사용\n"
" (사용 가능한 값은 --dump-resample-methods\n"
" 에서 참조)\n"
" --use-pid-file[=BOOL] PID 파일 생성\n"
" --no-cpu-limit[=BOOL] 지원하는 플랫폼에 CPU 로드 제한기를\n"
" 설치하지 않음.\n"
" --disable-shm[=BOOL] 공유 메모리 지원을 비활성화함.\n"
"시작 스크립트:\n"
" -L, --load=\"MODULE ARGUMENTS\" 지정된 인수와 함께 지정된 플러그인\n"
" 모듈을 적재\n"
" -F, --file=FILENAME 지정한 스크립트를 실행\n"
" -C 시작 후 실행 중인 TTY에서 명령행을\n"
" 열음\n"
" -n 기본 스크립트 파일을 적재하지 않음\n"
" -r, --record 기록을 위해 연결을 생성합니다\n"
" -p, --playback 재생을 위해 연결을 생성합니다\n"
"\n"
" -v, --verbose 자세한 작업 활성화합니다\n"
"\n"
" -s, --server=SERVER 연결하고자 하는 서버의 이름\n"
" -d, --device=DEVICE 연결하고자 하는 싱크/원천의 이름. "
"특별한 이름 @DEFAULT_SINK@, @DEFAULT_SOURCE@과 @DEFAULT_MONITOR@는 각기 기본 "
"싱크, 원천과 관리를 지정하는데 사용 될 수 있습니다.\n"
" -n, --client-name=NAME 서버에서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를 "
"호출하는 방법\n"
" --stream-name=NAME 서버에서 이와 같은 스트림을 호출하는 "
"방법\n"
" --volume=VOLUME 범위 0...65536에서 초기(선형) 소리를 "
"지정합니다\n"
" --rate=SAMPLERATE 샘플 속도(Hz) (기본값 44100)\n"
" --format=SAMPLEFORMAT 샘플 형식, 가능한 값(기본값 s16ne)\n"
" https://www.freedesktop.org/wiki/"
"Software/PulseAudio/Documentation/User/SupportedAudioFormats/\n"
" 참고하세요\n"
" --channels=CHANNELS 채널의 수, 모노 1, 스테레오 2\n"
" (기본값 2)\n"
" --channel-map=CHANNELMAP 기본값 대신에 사용하려는 채널맵\n"
" --fix-format 스트림이 연결되고 있는 싱크/"
"원천에서\n"
" 샘플 형식을 가져옵니다.\n"
" --fix-rate 스트림이 연결되고 있는 싱크/"
"원천에서\n"
" 샘플 비율을 가져옵니다.\n"
" --fix-channels 스트림이 연결되고 있는 싱크/"
"원천에서\n"
" 채널 수와 채널맵을 가져옵니다.\n"
" --no-remix 채널을 언믹스하거나 다운믹스 하지 "
"않습니다.\n"
" --no-remap 이름 대신에 색인으로 채널을 "
"맵핑합니다.\n"
" --latency=BYTES 바이트 단위로 지정된 지연시간을 "
"요청합니다.\n"
" --process-time=BYTES 바이트 단위로 요청당 지정된 "
"처리시간을 요청합니다.\n"
" --latency-msec=MSEC msec 단위로 지정된 지연시간을 "
"요청합니다.\n"
" --process-time-msec=MSEC msec 단위로 요청당 지정된 처리시간을 "
"요청합니다.\n"
" --property=PROPERTY=VALUE 지정된 속성을 지정된 값으로 "
"설정합니다.\n"
" --raw raw PCM 자료를 기록하거나/재생.\n"
" --passthrough 통과 자료.\n"
" --file-format[=FFORMAT] 형식화된 PCM 자료 기록/재생.\n"
" --list-file-formats 사용 가능한 파일 형식을 나열합니다.\n"
" --monitor-stream=INDEX 색인 INDEX를 사용하여 싱크 입력에서 "
"기록합니다.\n"
#: src/utils/pacat.c:793
msgid "Play back encoded audio files on a PulseAudio sound server."